세상은 '적자생존'이라는 말을 들어보았을 것이다. 환경에 적응하는 생물만이 살아남고, 그렇지 못한 것은 도태되어 멸망하는 현상을 말한다. 어쩌면 우리는 이런 현상을 당연하게 받아들였는지도 모른다. 그러나 이 책은 '적자생존'만이 세상에서 살아남는 방법이 아님을 전한다. 이 책은 두 명의 저자가 있다. 인류, 심리학 교수 브라이언 헤어와 인류학 연구원 버네사 우즈인데, 이들은 오히려 '적자생존'이라는 거친 생각이 단순한 틀 안에 우리를 가둬둔 것이라며 기존의 틀을 깨는 이야기를 한다.
인류는 친화력을 선택했다
책의 저자들은 '적자생존'이 인류를 이어가게 한 게 아니라 '친화력'이 인류를 이어왔다고 한다. 먼저, 이해하려면 선사시대부터 돌아보아야 한다. 야생 늑대였을 '개'를 생각해보자. 개는 인간과 친근감을 만들 수 있는 다정한 동물이다. 그래서 인간과 함께 살아가기를 선택했고, 이것을 '자기 가축화'라고 한다. 그 선택 덕분에 개는 멸종하지 않고 개체수를 유지하는 데에 성공했다. 그중 일부분의 가장 적응하지 못했거나 운이 좋지 못한 생물은 도태되지만 서로에게 다정하고 서로가 손을 잡는 개체가 살아남는 것이다. 자기 가축화는 친화력을 향상한다. 친화력은 인지능력이자 협력적 의사소통 능력을 의미한다. 다른 인간 종이 멸종할 때 호모 사피엔스가 번성할 수 있었던 이유도 친화력 때문이다. 우리는 처음 본 사람과 의사소통을 통해 협력하여 공동 목표를 실현시킬 수 있다. 타인의 마음과 자신을 연결시키며, 서로의 지식을 공유하고, 물려줄 수 있다. 그리고 인간 중에서도 친화력이 강한 사람들이 밀도 높게 모였을 때, 뛰어난 기술을 발명해왔다고 한다. 이렇게 친화력은 인류 문명 발전에 큰 영향을 주었고, 우리를 멸종에서 피하여 생존하게 만들었다. 그러나 친화력의 다른 면도 설명하겠다. 인간은 가족, 연인, 친구 등 소중히 여기는 사람들이 있다. 소중한 사람이 다른 사람에게 위협을 받는다고 느끼면 위협자를 정신 신경망에서 제거할 수 있다. 위협자를 인간으로 느끼지 않는 것이다. 인간이 아니기에 공감하지 않고 얼마든지 잔인해질 수 있다. 인간은 가장 관용적인 동시에 가장 무자비한 존재이다.
자제력도 인류 발달에 도움을 주었다
자제력이 유독 강한 사람이 있다. 이런 사람들과 보통 사람들에게는 어떤 차이가 있을까? 대표적으로 유명한 마시멜로 실험이 자제력에 관한 실험이다. 아이들에게 마시멜로가 담긴 접시를 맡겨두고, 지금 먹어도 되고, 먹지 않고 기다린다면 하나 더 줄 것이니 자유로운 선택을 하라고 한다. 몇몇 아이는 바로 마시멜로를 먹었고, 그중 몇 명은 먹지 않고 기다렸다. 마시멜로를 바로 먹은 아이들은 집중하는 데에 어려움을 겪고 교우관계를 유지하기 힘들어했다. 그리고 성장 후에는 과체중이 되거나 전과가 있을 확률이 더 높았다. 책의 저자들은 자제력에 대한 동물 실험도 했다. 양쪽 끝이 뚫린 원통에 먹이를 넣고, 먹이를 찾아내게 하는 실험이었다. 흥미로운 점은 하나의 원통은 가려져있어 먹이가 보이지 않았고, 다른 하나의 원통은 투명해서 먹이가 그대로 보이게 했다는 것이다. 가려져있는 원통 앞에서는 많은 동물들이 먹이를 찾아내는 데에 성공했다. 하지만 투명한 원통 앞에서는 먹이를 먹고 싶은 충동을 이기지 못해 자제력을 잃고 그대로 원통에 부딪혔다.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충동을 억제하는 자제력이 필요한데, 오히려 많은 정보를 주어 자제력을 요구하자 문제 해결이 더욱 어려워진 것을 보여줌으로써 자제력이 문제 해결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자제력은 잃기 전까지는 진가를 알 수 없는 인지능력이고, 생각과 행동 사이의 공간이다. 무언가를 실행하기 전에 한눈에 모든 전경을 바라보게 하는 힘이다. 인류는 자제력과 친화력을 이용하여 많은 문제를 서로 협력하여 해결해왔고, 발전시켜 왔다. 자제력이라는 게 인간에게 없었다면, 인간은 지금과 같은 모습으로 살아갈 수 없었을 것이다.
발달과 외형의 연관성
친화력이 있는 생물은 외형에 변화를 거친다. 사람에게도 외형을 변화시키는 호르몬이 있다. 테스토스테론인데, 사람의 얼굴을 길어지게 하고, 눈썹이 돌출되게 한다. 사람은 이런 얼굴을 보고 '남성적인 얼굴'이라고 느낀다. 테스토스테론은 직접적으로는 아니지만, 다른 호르몬과 상호작용을 하여 공격성을 유발하며, 경쟁상황에서는 더 크게 발현된다. 하지만 가족이 생기고 아기를 낳아 장기적인 관계를 유지하는 남자에게는 테스토스테론이 감소한다. 그 이유는 공격성을 낮추고, 가족을 지키고 보살피는 행동을 하게 함이다. 중기 인류는 테스토스테론의 영향을 많이 받은 외모를 가지고 있어 '남성적'이고, 지금의 인류인 호모 사피엔스는 '여성적'이다. 이것으로 공격성이 점점 감소하고 보살피는 성향으로 바뀌어감을 알 수 있다. 우리의 눈 역시 변화해왔다. 다른 영장류는 공막이 짙어 눈동자와 뒤섞여 보인다. 인간도 그랬으나, 점점 눈동자와 공막의 분리가 되어 공막이 하얀 유일한 영장류가 되었다. '이게 왜?'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흰색의 공막 때문에 다른 사람의 시선을 느낄 수 있고, 시선을 따라가 그 사람의 의도를 느낄 수 있고, 눈 맞춤에 더 깊은 유대를 느낄 수 있다. 이렇게 하얀 공막은 우리가 살아가는 동안 협력을 중시하여 친화력을 키워온 것에 대한 변화이다.
'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적을 부르는 공감 대화법, 서로가 편해진다 (0) | 2022.06.24 |
---|---|
힘들어도 사람한테 너무 기대지 마세요, 나의 감정을 돌아보세요 (0) | 2022.06.23 |
이것은 작은 브랜드를 위한 책, 마케팅 (0) | 2022.06.21 |
왜 일하는가, 일이 행복해야 인생이 행복하다 (0) | 2022.06.20 |
나는 질병없이 살기로 했다, 질병에서 벗어나는 방법 (0) | 2022.06.16 |